Q: Base64 인코딩이란 무엇인가요?
A:
Base64 Encoding은 Binary Data를 Text로 변경하는 Encoding이다.
https://effectivesquid.tistory.com/entry/Base64-%EC%9D%B8%EC%BD%94%EB%94%A9%EC%9D%B4%EB%9E%80
Base64 인코딩이란?
인코딩이란? Base64 인코딩에 대해 알아보기전에 먼저 인코딩이란게 무엇인지 간략하게 알아보자. 인코딩(encoding)은 정보의 형태나 형식을 표준화, 보안, 처리 속도 향상, 저장 공간 절약 등을 위
effectivesquid.tistory.com
Q: 사용자 패스워드를 전송하고 보관하는 방법을 설명해주실 수 있을까요?
A:
해시
사용자 패스워드를 전송/보관하는 방법
어떠한 데이터를 암호화 시켜 다른 이들이 직접 그 의미를 알지 못하도록 하는 작업암호화 되어있는 데이터를 해독하는 작업복호화가 불가능하다는 것이고 이를 '해싱'이라고 부른다.'해싱'과
velog.io
https://fullbackgee.tistory.com/99
🍈 [TIL] 패스워드 전송 및 보관 방법
사용자 패스워드를 전송하고 보관하는 방법을 무엇인가? 유저의 패스워드를 받은 클라이언트는 평문으로 서버로 전송합니다. 평문(암호화 되기 전 메시지) 을 받은 서버는 패스워드를 단방향
fullbackgee.tistory.com
https://jindevelopetravel0919.tistory.com/39
사용자 패스워드 전송 및 보관 방법
보안은 개발자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 중 하나이다. 현재 계정을 생성하고 이용하는 사이트들 중에서 보안을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 사이트는 거의 없을 것이다. 그중에서도 비밀번
jindevelopetravel0919.tistory.com
https://parksunwoo.github.io/dev/2023/03/05/how-to-transfer-archive-user-password.html
사용자 패스워드를 전송/보관하는 방법은?
사용자 비밀번호를 전송하고 보관하는 가장 일반적이고 안전한 방법 중 하나는 해싱이라는 프로세스를 사용하는 것
parksunwoo.github.io
https://imkh.dev/algorithm-gcd-lcm/
최소공배수와 최대공약수 알고리즘 (유클리드 호제법) | imkh.dev
유클리드 호제법을 이용해서 최소공배수와 최대공약수를 쉽게 구하는 알고리즘을 구현
imkh.dev
https://mathbang.net/609#gsc.tab=0
등차수열의 합, 등차수열의 합 공식
이번 글에서는 등차수열의 각 항을 더한 등차수열의 합을 구할 거예요. 아주 간단히 생각만 살짝 바꾸면 등차수열의 합 공식을 유도할 수 있어요. 방법은 어렵지 않으니까 그 원리를 금방 이해
mathbang.net
- 동기/비동기
https://velog.io/@daybreak/%EB%8F%99%EA%B8%B0-%EB%B9%84%EB%8F%99%EA%B8%B0-%EC%B2%98%EB%A6%AC
동기, 비동기 처리
데이터를 처리하는 방식인 동기, 비동기 처리에 대해 많은 글이 있지만 정확하게 와닿지가 않았다. 최대한 내가 이해한 방식대로 서술해 보려고 한다. 동기 (Synchronous)는 요청과 동시에 일어난다
velog.io
https://gmlwjd9405.github.io/2018/09/14/process-vs-thread.html
[OS] 프로세스와 스레드의 차이 - Heee's Development Blog
Step by step goes a long way.
gmlwjd9405.github.io
'TI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TIL 082323 (0) | 2023.08.23 |
---|---|
TIL 082223 (0) | 2023.08.22 |
TIL 081823 (0) | 2023.08.18 |
TIL 081723 (0) | 2023.08.17 |
TIL 081623 (0) | 2023.08.16 |